wifi2019. 3. 7. 12:22

□ MIMO, 빔포밍(형성) 기술의 진화

 o MIMO의 목적

 - 통화자들의 데이터 속도를 높이는 것 보다는 기지국의 통화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임

 - 기지국의 통화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최번시에 많은 통화자들이 기지국의 통화용량을 나누어 사용해도 최소한의 속도를 보장할 수 있음 

 

 o SU-MIMO(Single User MIMO)

 - 기지국의 MIMO 송신신호를 모두 한 사람이 수신하는 경우

 - 대표적 사례 2×2 MIMO

 - 기지국의 MIMO 송신신호가 4개인 경우 1명의 통화자 데이터 속도는 4배 증가

 

 o MU-MIMO (Multi User MIMO) 

 - 기지국의 MIMO 송신신호를 여러 사람이 나누어 수신하는 경우

 - 기지국의 MIMO 송신신호가 4개인 경우 2명의 통화자 데이터 속도는 2배 증가

 - 즉, 개별 통화자의 데이터 속도는 획기적으로 높이지 못하지만, 기지국의 통화용량을 효율적으로 증대할 수 있어 MU-MIMO로 진화

 -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여러 개의 신호들이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로 적절한 위상으로 분배 및 송신되도록 하는 역할은 프리코딩(precoding)이 수행함


 o MU-MIMO와 빔포밍의 혼재

 - 기지국에서 송수신 안테나를 8개 사용하더라도 휴대전화에는 2개의 안테나가 내장되므로 8×2 MIMO 동작에 의해 개별 통화자의 데이터 속도는 2배만 증가됨


출처:

https://spectrummap.kr/cmm/fms/FileDown.do;jsessionid=jcV2PvfKBoBRb2YpYRK1fk3qT8IkfQzZeljiruRRV11jqjpdjjFE!973290751!NONE?atchFileId=FILE_000000000009345&fileSn=0

'wifi'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n  (0) 2019.05.17
antenna 2x2, 3x3 의미  (0) 2019.04.25
WIFI state machine, HSM (Hierarchical State Machine )구조에 관한 설명  (0) 2019.03.14
wifi 이론적 속도 vs 실제 속도 비교 (throughput)  (0) 2018.06.29
Simple iperf3 사용법  (0) 2018.06.29
Posted by easy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