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이란?
2006년에 아마존이 EC2(Elastic Compute Cloud)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기를 생각해 보자. 책을 읽기 위해 불을 밝히고,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우기 위해서 사용하는 전기는 어느 누구도 직접 발전기를 통해 만들어 쓰지 않는다.
마치 전기와 수도를 쓰듯 IT 자원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하는 것이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할 수 있다. 비용 또한 전기, 수도와 마찬가지로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게 되어, 초기 투자가 필요 없다.
Server-less architecture
서버리스 아키텍쳐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인 람다(AWS Lambda) 서비스
사용자가 파이썬이나 node.js 혹은 java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실행 조건만 설정하면 가상머신 등의 서버 없이도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용어:
RFI(Request For Information)
RFP(Request for Proposal)
PoC(Proof of Concept)
TCO(Total Cost of Ownership) : 총 소유 비용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 : 자원의 사용량 및 계획에 따라 컴퓨팅 및 기타 자원들을 할당 -> TCO 개선
Scale Up : 보다 처리 용량이 큰 자원을 사용
Scale Down : 보다 처리 용량이 작은 자원을 사용
Scale Out : 자원의 수를 늘려 처리 용량을 늘림
Scale In : 자원의 수를 줄여 처리 용량을 줄임
목적 : 과잉 자원들을 제거
Region :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 도시 이름으로 표현됨)
콘텐츠 배포를 위한 68개의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 CDN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점)
190여 나라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는 넷플릭스의 경우 자체적인 IT 자원 없이 AWS에서 모든 IT자원을 사용하고 있다.
출처 :
http://tech.kobeta.com/%EB%B0%A9%EC%86%A1%EA%B8%B0%EC%88%A0%EC%9D%98-%ED%81%B4%EB%9D%BC%EC%9A%B0%EB%93%9C-%EC%A0%84%EB%9E%B5-part-1-%ED%81%B4%EB%9D%BC%EC%9A%B0%EB%93%9C-%EC%BB%B4%ED%93%A8%ED%8C%85%EC%9D%B4%EB%9E%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