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2019. 2. 27. 11:44






1. 데이터 통신 전용장비 (DSU 및 CSU)

 

  ㅇ DSU  (가입자측 장비)

     - 컴퓨터 등 데이터 장비의 비트열 신호를 장거리 전송에 맞게 변환 전송하는 장비

        . 신호의 변복조 방식이 단순하고 저속 또는 고속 전송시에 효과적 


  ㅇ CSU  (국측 장비)

     - T1 및 E1과 같은 트렁크 라인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전용장비

        . 디지털 트렁크 회선과의 직접 연결에 이용하는 가입자전송장치



2. DSU 


  ㅇ DSU 내부기능

     - DSU는 DTE에서 만들어진 데이터 신호를  bipolar(양극성)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며

       또한 클럭의 조정, 채널의 등화, 신호의 재생을 수행

     - 다양한 Loopback (LLB, DLB 및 RDLB) 기능이 있어서 유지보수 용이 등


  ㅇ DSU 주요 종류

     -  DSU-SR : 2.4,4.8,9.6 kbps급

     -  DSU-56 : 56 kbps급

     -  DSU-AR : All Rate용

     -  64 kbps급 이상 DSU 등


  ㅇ DSU 및 모뎀 비교

     - 모뎀은 단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나, DSU는 네트워크 장비의 일부로 보고 있다.

     - 모뎀의 경우 상대측도 반드시 모뎀이어야 한다.



3. CSU


  ㅇ CSU는 네트워크 쪽에 있으며, 통상 DSU에 대응되며, LAN 연결장비인 라우터,브리지 등과 연결

     - 한편, DSU와 통합된 CSU (즉, DSU/CSU)가 제작되어 나오기도 함


  ㅇ CSU는 다양한 loop-back(루프백) 테스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LAN과의 연결상

     문제가 있을 때에도 국선측 회선은 살아있게됨


출처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67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 SAN 비교  (0) 2019.03.01
시리얼 통신 DTE DCE  (0) 2019.02.27
후니의 네트워크 정리 사이트  (0) 2019.02.14
HTTPS SNI 와 ESNI  (0) 2019.02.14
SDN  (0) 2019.02.14
Posted by easy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