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2019. 3. 1. 14:32

SAN(storage area network)은 블록 수준 스토리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정 시스템 전용의 고속 네트워크다. 스토리지 트래픽을 LAN의 다른 부분과 분리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한다.


Credit: Getty Images Bank


또한, SAN을 이용하면 기업이 스토리지 리소스를 더 쉽게 할당하고 관리할 수 있고 더 효율적으로 아카이빙할 수 있다. 여러 서버에 걸쳐 독립된 스토리지를 운영하는 대신 여러 워크로드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풀을 만들어 공유하거나 필요한 만큼 분할 수 있다. 스콧 싱클레어는 "SAN을 이용하면 스토리지를 관리하기 쉽고, 보안도 강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SAN이란 무엇인가

SAN은 서로 연결된 호스트와 스위치, 스토리지 기기로 구성된다. 이 구성요소는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연결에는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이 사용되지만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면 스토리지와 IP 프로토콜을 단일 인프라로 변환해 기업이 기존 고속 이더넷을 통해 파이버 채널 트래픽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밖에 보통 중소중견기업(SMB)이 사용하는 iSCSI(Internet Small Computing System Interface),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인피니밴드(InfiniBand)를 이용해 연결할 수도 있다.


현재 여러 업체가 저가 혹은 보급형 SAN 스위치를 내놓고 있다. 물론 대용량과 고성능을 지원해야 하는 엔터프라이즈 SAN 제품도 있다. 이런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에는 델 EMC, HPE, IBM, 퓨어 스토리지 등이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SAN 정의에 따르면 SAN은 2개 티어로 구성된다. 첫번째 티어는 스토리지 플럼빙 티어다.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연결을 맡아 기기 고유의 명령과 상태를 수행하고 전달한다. 최소한 스토리지 노드 1개는 이 네트워크와 연결돼 있어야 한다. 두번째 티어는 소프트웨어 티어다. 첫번째 티어 전반을 운영하는 부가 서비스 수행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영역이다.


NAS와 SAN의 차이점

SAN과 NAS(network-attached storage)는 모두 네트워크 기반 스토리지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SAN은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 연결을 이용하고 NAS는 표준 이더넷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또한, SAN은 블록 수준에서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NAS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 접속한다. 클라이언트 OS 입장에서 보면, SAN은 일반적으로 디스크로 나타나며 별도로 구성된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로 존재한다. 반면 NAS는 클라이언트 OS에 파일 서버로 표시된다.


SAN은 데이터베이스 같은 구조화된 워크로드와 관련돼 있다. 반면 NAS는 일반적으로 비디오와 의료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에 사용된다. 싱클레어는 "기업 대부분이 NAS와 SAN을 모두 사용한다. 어떤 것을 사용할 지는 워크로드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ciokorea.com/t/528/uxeliolw.html/37369#csidxfa00893bba6993996a418f3dab11ce8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ables 방화벽 설정관련 예제  (0) 2019.05.13
Cloud gaming  (0) 2019.03.04
시리얼 통신 DTE DCE  (0) 2019.02.27
DSU와 CSU 한눈에 보기  (0) 2019.02.27
후니의 네트워크 정리 사이트  (0) 2019.02.14
Posted by easy16